데이터분석(8)
-
KPI란 무엇인가
현재 IT 연합동아리 TAVE에서 진행하고 있는 SQL 스터디의 주차별 커리큘럼 중'KPI' 개념을 처음으로 본격적으로 공부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KPI의 기본 개념뿐 아니라, 실제 조직에 속해있는 팀이 되어가상의 마케팅 캠폐인을 진행하는 상황을 가정해KPI가 어떻게 설정되고 활용되는지를 정리해보았습니다. KPI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는 "우리가 잘하고 있는 걸까?"라는 질문에 객관적으로 대답할 수 있게 해주는 수치화된 지표입니다.쉽게 말해, 목표를 향해 얼마나 잘 나아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성적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대학생활과 비교해보면, 학점이 대학생의 '학업 KPI'인 셈입니다.시험 점수, 과제 점수, 출석률이 모여 최종 학점이 되고,이를 통해 학업 성취..
2025.04.05 -
정규화
정규화 정규화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중복을 최소화하게 데이터를 구조화 하는 프로세스이다. 즉, 테이블 간 관계를 재구성하여 고유하고 잘 조직된 관계를 생성하는 것이 목표이며, 제대로 조직되지 않은 테이블들과 관계들을 작고 잘 조직된 테이블과 관계들로 나누는 것을 포함한다. 쇼핑 사이트 주문 처리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가정해보자.간단한 주문 데이터로는 어떤 것이 필요한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CREATE TABLE order_table( 주문번호 INT NOT NULL, 날짜 DATE, 고객이름 VARCHAR(10), 연락처 VARCHAR(11), 주문상품 VARCHAR(100));INSERT INTO order_table VALUES(1, "2025-03-18", "장세민", "0101234..
2025.03.19 -
RDBMS
RDBMS - 도서관 관리 시스템 SQL을 공부하기로 결심하고 도서관에 갔는데, 정리 상태가 엉망진창이라면?책들이 아무렇게나 쌓여 있고, 원하는 책을 찾으려면 몇 시간씩 뒤져야 한다면? 이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도서관은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책들은 카테고리(소설, 과학, 역사 등)로 정리됨 ✅각각의 책에는 고유한 도서번호(Primary Key)가 있음 ✅저자, 출판사, 출판 연도 등의 정보가 표로 정리됨 ✅회원들은 대출 기록(이력)을 통해 언제, 어떤 책을 빌렸는지 관리됨 ✅이처럼 도서관이 체계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바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이다. 테이블 — 책장 &..
2025.02.06 -
독립사건 vs 배반사건
미국 주식은 날아가는데, 내 주식은... 왜?— "독립사건 vs 배반사건"으로 보는 한미 증시 이야기 주식 투자자라면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해봤을 것이다. "미장은 연일 신고가를 갱신하는데, 국장은 왜 이 모양이지?""미국이 오르면 한국도 따라가야 하는 거 아니야?" 최근 미국 증시는 나스닥과 S&P500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붐"을 일으키고 있는 반면,한국 증시는 "박스피(박스권에 갇힌 코스피)"라는 오명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이 두 시장의 흐름을 보면 마치 "독립사건 vs 배반사건" 개념과도 연결될 수 있다.한번 재미있게 풀어보자. 미국 증시 vs 한국 증시: 독립사건일까?미장이 상승한다고 해서 국장도 반드시 상승하는 것은 아니다.이는 통계적으로 '독립사건'의 개념과 연결될 수 있다...
2025.02.03 -
AI, 정말 믿을 수 있을까?
AI의 발전은 이제 더 이상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다.그러나, 그 발전이 가져오는 윤리적 문제는 충분히 논의되고 있는가?AI 모델이 점점 더 정교해지고 우리 삶의 중요한 결정에 관여하게 되면서,AI를 활용하는 개발자는 기술적 성취뿐만 아니라 윤리적 책임도 함께 고민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우리는 정말 AI를 신뢰할 수 있을까? 이 글에서는 LG Aimers 6th에서 다룬 AI 윤리 개념 강의를 바탕으로,이 질문에 대한 답을 고민해보고자 한다. ✔️ 신뢰할 수 있는 AI를 위한 필수 요소1.1 명확한 데이터 해석: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혼동하고 있지는 않은가?AI 모델이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인과관계를 증명하는 것은 아니다.이는 데이터 분석에서 흔히 발생하는 오류 중 하나로,두 ..
2025.01.31 -
A/B 테스트란
본 포스팅은 박스앤위스커 블로그A/B 테스팅이란 글을 정리한 글입니다. 1. A/B 테스트A/B 테스팅이란 웹 사이트 방문자를 임의로 두 집단으로 나누고,한 집단에게는 기존 사이트, 다른 집단에게는 새로운 사이트를 보여준 다음,두 집단의 성과를 측정 비교하여 새로운 사이트가 기존 사이트에 비해 좋은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을 말한다.여기서 성과란 새 사이트가 목표로 삼았던 기준에 따라 회원 가입율, 재방문율, 구매전환율 등의 지표를 본다. 1.1 왜 하나A/B 테스팅을 하는 이유는 상관관계로부터 인과관계일 가능성이 높은 것을 찾아내기 위함이다.그래야만 "원인"에 해당하는 요소에 개입을 하여 "결과"에 해당하는 요소가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역의 판단도 가능하다. 가령 물..
2024.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