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Analysis/분석 방법론(4)
-
KPI란 무엇인가
현재 IT 연합동아리 TAVE에서 진행하고 있는 SQL 스터디의 주차별 커리큘럼 중'KPI' 개념을 처음으로 본격적으로 공부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KPI의 기본 개념뿐 아니라, 실제 조직에 속해있는 팀이 되어가상의 마케팅 캠폐인을 진행하는 상황을 가정해KPI가 어떻게 설정되고 활용되는지를 정리해보았습니다. KPI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는 "우리가 잘하고 있는 걸까?"라는 질문에 객관적으로 대답할 수 있게 해주는 수치화된 지표입니다.쉽게 말해, 목표를 향해 얼마나 잘 나아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성적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대학생활과 비교해보면, 학점이 대학생의 '학업 KPI'인 셈입니다.시험 점수, 과제 점수, 출석률이 모여 최종 학점이 되고,이를 통해 학업 성취..
2025.04.05 -
A/B 테스트란
본 포스팅은 박스앤위스커 블로그A/B 테스팅이란 글을 정리한 글입니다. 1. A/B 테스트A/B 테스팅이란 웹 사이트 방문자를 임의로 두 집단으로 나누고,한 집단에게는 기존 사이트, 다른 집단에게는 새로운 사이트를 보여준 다음,두 집단의 성과를 측정 비교하여 새로운 사이트가 기존 사이트에 비해 좋은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을 말한다.여기서 성과란 새 사이트가 목표로 삼았던 기준에 따라 회원 가입율, 재방문율, 구매전환율 등의 지표를 본다. 1.1 왜 하나A/B 테스팅을 하는 이유는 상관관계로부터 인과관계일 가능성이 높은 것을 찾아내기 위함이다.그래야만 "원인"에 해당하는 요소에 개입을 하여 "결과"에 해당하는 요소가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역의 판단도 가능하다. 가령 물..
2024.07.03 -
Data preprocessing
데이터 전처리데이터 분석 전 데이터를 정제, 변형하여 분석에 적합한 형태로 만드는 과정실무에서 접하는 데이터는 messy 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결과 도출을 위해 필수적이다. STEP 1 : 데이터 수집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로, 원시 데이터를 모으고 저장하는 과정 수집 방법의 종류(데이터의 형태, 종류에 따라 수집방법 결정)1. Web Crawling2. 로그 수집3. etc. STEP 2 : 데이터 정제데이터의 불필요한 정보 or 오류를 제거하여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는 과정 (결측치 or 이상치 처리) 데이터 정제 절차1. 오류 원인 분석2. 정제 대상 선정 → 초기에는 모든 데이터를 대상으로 정제 진행3. 정제 방법 결정 ex) 오류 데이터 삭제, 대체, 예측값 삽입 등 데..
2024.05.05 -
Data Analysis Overview
데이터 분석의 목적1. 목적, 평가 지표 결정무엇을 위해, 어떤 데이터를 사용하여 어떤 분석을 하고, 그 결과로 어떤 지표로 평가할지 결정한다. 2. 데이터 수집내부와 외부 환경에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3. 데이터 가공 및 전처리여러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에 적합한 포맷으로 가공하고 결측치 등을 처리한다. 4. EDA & 시각화데이터 분포나 경향, 개요 등을 시각화하여 확인하고 가설이나 의문, 과제 등을 정리한다. 5. 특징 값 추출머신러닝 모델에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특징 값을 작성한다. 6. 모델 작성, 예측 및 분류모델의 하이퍼파라미터를 조정하면서 예측 정밀도가 높은 모델을 작성한다. 7. 모델 검증작성한 모델을 이용하여 테스트 과정을 거치며 효과를 검증한다. 데이터분석 용어 정리목적변수 : ..
2024.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