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Analysis(20)
-
프로세스와 스레드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모든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원리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컴파일 과정먼저,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예: C언어로 작성된 세민.c)는 컴파일러라는 번역기를 통해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 파일(Chrome.o)로 변환된다. 이 과정에서 전처리, 컴파일, 어셈블, 링킹 단계를 거치며최종적으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파일(.exe 또는 .out)이 만들어진다.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이렇게 만들어진 프로그램 파일은 그 자체로는 메모리 위에 올라가 있지 않은,그저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정적인 상태’의 파일이다. 우리가 이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운영체제는 이 파일을 메모리에 올려놓고 실행을 준비한다.이처럼 메모리에 올라가서 실행 중인 상태를 프로세스라고 부른다. 운영체제로부터 파일(자원)..
2025.08.11 -
메모리 관리
메모리 관리: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쓰는 OSCPU와 메모리 계층에 대해 이해했다면,이번에는 이 한정된 메모리 자원을 운영체제(OS)가 어떻게 관리하는지,그리고 왜 이런 복잡한 기술이 필요한지 그 동기부터 차근차근 알아봐야 한다. 컴퓨터의 메모리(RAM)는 아무리 용량이 커도 한정되어 있다.하지만 우리는 수십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띄워놓고 작업을 한다. 어떻게 이게 가능한가? 바로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 덕분이다.운영체제는 한정된 메모리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들을 사용한다. 무한한 메모리의 착각, 가상 메모리메모리 관리의 핵심은 바로 가상 메모리 (Virtual Memory)이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마치 실제 가지고 있는 메모리 용량보다훨씬 더 큰 메모리를 가진 것처럼 보이며, ..
2025.08.05 -
CPU와 기억장치, 메모리
이런 말을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메모리가 부족해” 여기서 말하는 메모리가 무엇인지,그리고 우리 컴퓨터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CPU와 메모리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 지 알아보자. 컴퓨터의 가장 중요한 부품인 CPU는 컴퓨터의 두뇌 역할을 한다.이때, 직접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메모리’ 라는 공간에 올라와 있는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읽어와서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메모리는 무엇인가? 메모리는 컴퓨터가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이다.우리가 사용하는 워드, Notion 등 모든 프로그램은 실행되기 위해 반드시 메모리에 올라와야 한다. 하지만, 모든 메모리가 같은 종류는 아니고,다양한 종류의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
2025.08.04 -
운영체제와 컴퓨터
TIL (Today I Learn)을 기록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두서 없을 수 있음을 미리 밝히고, 양해를 구합니다. 운영체제와 컴퓨터컴퓨터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OS, CPU, Memory 등으로 구성운영체제(OS) =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최근에는 대부분의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운영체제에 포함되어, 같은 의미로 사용됨 운영체제는 쉽게 Window, Linux, Mac OS 등으로 대표할 수 있다. 즉, 컴퓨터 하드웨어 관리와 UI를 담당하는 프로그램으로, 컴퓨터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 감독하며,각종 자원들(CPU, Memory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 사용자에게 최대의 편의성 제공 운영체제의 역할과 구조OS의 역할1..
2025.08.01 -
Poisson Process
왜 Poisson Process를 공부하는가?Linkedin에서 현업 데이터 분석가 분들의 인사이트를 읽다보면,'얼마나 많이'보다 '언제 일어나는가'에 대한 문제를 더 자주 고민하시는 것을 많이 접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한 시간 뒤 고객 몇 명이 우리 웹사이트에 들어올까?""광고를 본 뒤 유저가 앱을 다시 켜는 데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와 같은 시간 기반의 사건들의 확률을 이해하기 위해선 다루는 도구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Poisson Process는 이런 시간 기반의 사건들을 수학적으로 풀 수 있는 도구 중 하나이다. 평균만 본다고 예측이 되는 게 아니다 💬 우리 콜센터는 시간당 평균 12콜이 와요 → 이 말로는 10분동안 5콜이 몰릴 수도, 0콜이 올 수도 있다는 걸 설명할 수 없다...
2025.05.31 -
A/B 테스트로 알아보는 카이제곱 분포
수리통계학에서 배우고 있는 다양한 dist들이수식과 증명 위주 수업이라 와닿지 않아 학습의 연장선으로실제 데이터 분석에서의 적용 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보려고 한다. 그래서 그 첫 시작은 Chi-square dist 문제 상황한 쇼핑몰 앱에서 "구매 버튼 색상"을 바꿨을 때 CTR(클릭률)이 달라지는지를 A/B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려고 한다.Group A: 빨간색 버튼Group B: 파란색 버튼 버튼을 클릭한 유저 수와 미클릭한 유저 수를 다음과 같은 표로 나타냈다고 해보자.Group클릭미클릭전체A (빨강)4555100B (파랑)3070100 우리는 이 표를 통해 다음 질문에 답을 하는 것이 목표이다."버튼 색상과 클릭 여부는 과연 무관한가?아니면 어떤 색상이 더 클릭을 유도하는가?" A/B 테스트..
202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