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8. 10. 14:40ㆍ이것저것
What I Learned
Git
미루고 있던, 개발자들에게 필수인 Git 공부를 Mac 설치방법부터 시작했다.
Git, 무엇을 하는 친구인가?
최근 공모전 제출하기 직전, 코드를 싹 다 갈아엎어야 했던 기억이 있다.
그때 나는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final_ver.ipynb, really_finally_ver.ipynb 같은 식으로 파일을 계속 복사했었다.
파일이 몇 개 없어 괜찮았지만,
포로젝트 규모가 커지면 이건 정말 비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걸 깨달았다.
Git은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해 주는 버전 관리 도구다.
파일을 통째로 복사하는 대신, 내가 코드를 변경한 이력을 기록 해준다.
예를 들어,
- 프로젝트 초기 세팅 코드를 작성
- 회원가입 기능 개발
- 로그인 기능 개발
- 로그아웃 기능 개발
이렇게 단계별로 코드를 변경할 때마다 그 시점의 상태를 ‘찰칵’ 찍어 저장해두는 방식이다.
만약 로그인 기능 개발 중 큰 오류가 발생하면,
언제든지 오류가 없었던 ‘회원가입 기능 개발’ 시점으로 Rollback 할 수 있다.
Git은 어려운 용어로 ‘형상 관리 도구’라고도 불리는데,
소프트웨어의 변경사항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 배운 Git의 핵심은 바로 코드의 변경점을 기록해주는 친구라는 것이다.
Git과 Github의 차이는?

Git을 배우면 Github도 함께 배우게 되는데, 둘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 Git: 내 컴퓨터 안에서 코드의 변경 이력을 관리해 주는 버전 관리 도구
- GitHub: Git으로 관리되는 코드를 온라인에 올리고, 백업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코드 저장소
열심히 작업한 코드를 내 컴퓨터에만 보관했다가 혹시라도 모두 날아가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GitHub를 사용하면 온라인에 안전하게 백업해둘 수 있다.
또한, 링크를 통한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협업 시에도 매우 유용하다.
Mac OS에서 GIt을 설치하기
Mac에서는 Homebrew라는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면 아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 터미널에 Homebrew 설치 스크립트 복사 붙여넣기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 Mac OS 비밀번호 입력 및 엔터
- brew install git 명령어로 Git 설치
- git --version 명령어로 설치 확인
필수 리눅스 명령어
Git은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입력해서 사용하는 방식이라,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를 알아두면 편리하다.
- pwd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내가 있는 위치(폴더 경로)를 알려준다.
- ls (list): 현재 폴더 안에 있는 파일과 폴더 목록을 보여준다. 이때, ls -a를 입력하면 숨겨진 파일까지 모두 보여준다.

- cd (change directory): 다른 폴더로 이동한다.
- cd 폴더명: 지정된 폴더로 이동
- cd ..: 바로 상위 폴더로 이동

이 명령어들을 활용해서 폴더를 이동하고, 파일 목록을 확인하는 연습을 해봤다.
확실히 GUI로 폴더를 클릭해서 들어가는 것 보다
터미널로 다루는 게 더 익숙해지면 편하지 않을까 싶다.
오늘 Git을 처음 배우면서 느낀 점은, 무작정 외우기보다 왜 필요한지,
어떤 역할을 하는 지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겠다는 것이다.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it/Github] Git 필수 명령어 (1) (0) | 2025.08.10 |
|---|---|
| AI, 정말 믿을 수 있을까? (2) | 2025.01.31 |